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
바라는 대로이루어진다
잘할꺼야~~그럼 누구인데....
말이씨가 된다
내가 그랬잖아 갠 안된다고 역시 그렇다니까
여자는 수학을 못해....맞네...수학성적이 그러니 그모양이지
쟤 착한거 같은데? 역시 내가 보는눈은 있네
흔히 우리가 생활속에서 자주 하는 말
상대를 보고 우리가 생각하는 말들입니다.
그럴것이라 생각하고
예측이 대상에게 실현되는현상
이와같은 현상을 나타내는 말로
피그말리온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와같은 말과 효과를 로젠탈효과, 자성적 예언이라고도 합니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이름에서 유래한 심리학용어입니다. 조각가였던 피그말리온은 아름다운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됩니다. 여신(女神) 아프로디테(로마신화의 비너스)는 그의 사랑에 감동하여 여인상에게 생명을 줍니다. 이처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심리학에서는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으면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하여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교육심리학에서는 교사의 관심이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 된다는 것을 말힙니다.
1968년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과 미국에서 20년 이상 초등학교 교장을 지낸 레노어 제이콥슨(Lenore Jacobson)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한 반에서 20% 정도의 학생을 뽑았습니다. 그 학생들의 명단을 교사에게 주면서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의 향상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라고 믿게 하였습니다.
8개월 후 이전과 같은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명단에 속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학교 성적도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명단에 오른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중요한 요인이었던것입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교사가 학생에게 거는 기대가 실제로 학생의 성적 향상에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이처럼 남이 기대하는 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말이 씨가 된다.’라는 속담처럼 누군가 예언을 하면 그 예언은 신통하게도 실현이 됩니다.. 무언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그 대상에게 그대로 실현되는 경향, 이것이 ‘피그말리온 효과’입니다. 누군가 그렇게 예언하지 않았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데, 예언을 함으로써 예언 자체가 실현되기 때문에 이때의 예언을 ‘자기 실현적 예언’이라고 부릅니다.
정신과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 가운데 4분의 1 정도는 불면증 치료를 받는다고 합니다. 이 환자들은 ‘오늘 밤에 또 못 자면 어떻게 하나?’가 최대의 걱정입니다. 그런데 밤이 되어 잠을 못 자게 될까 봐 걱정하면 자율신경계가 자극을 받기 때문에 실제로 잠이 안 오는 것입니다. 12시를 넘어 새벽 1시가 되고 2시가 될수록 고통과 불안은 더 심해져서 뜬눈으로 밤을 새우게 됩니다. ‘오늘도 잠을 못 잘 것이다.’ 이런 걱정이 자기 실현적 예언이 되는 셈입니다.
자기 실현적 예언은 우리의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심화시킵니다. 미국의 일부 백인들은 흑인들이 게으르고 폭력적이며, 무기나 마약을 소지하고 있을 확률이 백인보다 더 높다는 편견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흑인들은 직장을 얻을 기회가 더 적고, 경찰들에게 더 많은 검문과 체포를 당합니다.
이렇게 해서 흑인들은 더 가난해지고,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더 많은 범죄를 저지르게 됩니다. 그 결과 사람들은 ‘역시 흑인들은 게으르고 폭력적이며 범죄를 많이 저지르는 사람들’이라는 편견을 갖게 됩니다. 편견의 대상이 되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하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낙인이 찍힘으로 해서 더 나쁜 쪽으로 변해 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스티그마 효과’라고 한다. 기대로 인해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피그말리온 효과와는 반대되는 효과입니다.
사람은 모두 예언자의 권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년 초에 처음 만나는 친구가 ‘착하고 친절할 것’이라고 믿고 기대하면 그 아이는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착하고 친절하게 행동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노력하면 실제로 착하고 친절한 친구가 되어 예언이 실현됩니다. 이것이 피그말리온 효과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못되고 까칠한’ 아이라고 믿고 그렇게 대하면 그 아이는 실제로 그렇게 됩니다. 이것은 스티그마 효과입니다.
우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으면 그것은 언젠가 현실이 됩니다. 긍정적인 결과를 낳고 싶으면 긍정적인 기대를 하십시요. 부정적인 전망을 가지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부정적인 전망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이처럼 심리적 측면에서
좋은 말과 좋은생각은
좋은 영향을 줍니다
아이들에게
주변인에게
행복한 말과 행동을
전함으로써
모두 풍요롭고 행복한 삶이
되었으면 합니다.
🧡🧡🧡🧡🧡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먹는어린이멀미약 디노타[효과좋아요] (0) | 2020.11.23 |
---|---|
[앱테크]긱웍스 녹음알바 신박하네요!! 집에서편하게 부업하기 (0) | 2020.11.20 |
[전세를월세로바꿀때]전월세전환율계산기 알아봅시다 (0) | 2020.11.19 |
[코로나19재확산]일일확진자 300명 넘었네요 ㅠ.ㅠ (0) | 2020.11.18 |
[경기도건강과일지역화폐바우처 ]가정보육중인어린이신청하세요!!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