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의 별을 올려다보면 반짝이고 영롱한것이 계속쳐다보게 됩니다.사람들은 별을 바라보며 신기함과 별을 봄으로써 편안함도 느낍니다. 오랜 옛날 부터 인류는 별에 의지해서 생활을 해왔습니다.땅과 바다에서 방향을 잡고,시간의 흐름을 인식하는데도 별의 역할은 아주 컸습니다.별에 관해 전해오는 신화는 우주와 인간을 연결하는 고리이기도 했습니다.하지만 평화로워보이는 별이 그 내면에 엄청난 에너지와 다이나믹한 드라마를 쓰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사람처럼 죽어가는별도 있고,새롭게 태어나는 별도 있습니다.밤하늘의 우주에 살고 있는 별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옛날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사람들은 알고 있었습니다.그리스 시대의 사람들은 지구를 중심으로 행성들이 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밤하늘의 별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있으면,옛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것도 이해가 갑니다.이러한 '천동설'은 중세 유럽까지 많은 사람들이 믿고있었으며 강력한 지지를 받았습니다.그러다 16세기 코페르니쿠스가 지구가 태양주의를 돈다는 '지동설'을 발표했습니다.그는 천체운동의 합리성을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천동설의 영향이 너무커서인지 사람은은 오랫동안 지동설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이후 영국 에드먼드 핼리는 항성의 위치를 조사하고 서로의 위치가 바뀌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이러한 이론과 관측은 항성이 언제나 바뀌지 않는 천체가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지구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별의 겉보기위치도 바뀌고 있습니다.이 '연주시차'의 값은 너무 작기 때문에 오랜세월동안 관측되지 않다가 독일의 베셀등이 마침내 연주시차를 관측했습니다.이에따라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구에서보면 항성은 멀어지거나 가까워집니다.그 속도를 시선속도라고 합니다.1868년 시선속도를 처음으로 측정한사람은 영국의 허긴스입니다.시선속도의 측정에의해 항성의 3차원적 움직임이 포착된 것입니다.
지구를 둘러싼 천구에 고정된 불변의 것이라 생각했던 항성은 여러가지 관측을 통해 불변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 졌습니다.현재는 관측기술의 발전으로 별이 모습이 아주 상세히 밝혀지고 있습니다.